2009년 11월 4일 수요일
휘닉스파크 인근의 넓고 예쁜 펜션 추천!!
2009년 10월 28일 수요일
같은 방법으로..
내가 하려는 것은 이미 누군가가 지나갔던 발자취
한번도 손닿지 않은 미지의 땅은 남아 있지 않으며
한번도 찍히지 않은 대상은 없으며
한번도 생각되지 않은 아이디어는 없으며
한번도 쓰이지 않은 글은 없으며
한번도 회자되지 못한 말은 없다.
오늘날 새로움은 요소 있지 않고 단지 그 요소들의 배열에 있다고도 말한다.
이미 쓰여진 것에 대한 배열로 새로움을 창출해 내는것은 무궁무진할까?
무한한 수이지만,
결국에 그 끝이 정해져 있는 가능한 집합안의 한계 일까?
아니면 정말로 끝이 없는 것일까?
이런 말들도 누군가에 의해서 말해 졌으며,
앞으로 다른 누군가에 의해서 말해 질것이다.
한글자도 빠짐없이 똑같이 같은 시간에 같은 방법으로..
2009년 9월 28일 월요일
노트르담 드 파리 - Tu vas me detruire
숙명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Tu vas me detruire)
끝없는 정념
내 혈관속에서 용솟아
나의 이성을 흐리고
타락과 불운을 부르네
가만히 침몰하리
붙잡아주는 손도 없이
서서히 침수하리
양심의 가책도 없이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하여 너를 저주하리라
내 생이 다할 때 까지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예견했어야 했는데
첫 날부터
첫 밤부터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나의 죄, 나의 집착
거친 욕망이 나를 괴롭히고
조롱하고
상처내고 혼을 뺏네
환상을 파는 여자
나는 기다리네
네가 춤추고 노래할 때
네 속치마가 흩날리기를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하여 너를 저주하리
내 생이 다할 때까지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예견했어야 했는데
첫 날 부터
첫 밤부터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고목인 줄 알았던 내 가슴에
꽃이 피네
내 가슴은 정욕에도 끄덕없는
강철인 줄 알았건만
달빛보다
더 신비로운
이방인 여인의 눈빛 때문에
정념을 불태우고 재가 되네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하여 너를 저주하리
내 생이 다할 때까지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예견했어야 했는데
첫 날부터
첫 밤부터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네가 나를 파멸시키는 구나
2009년 9월 19일 토요일
대학원생의 뉴튼의 3번칙!
1. 관성의 법칙
대학원생은 외부힘(교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할 일을 미루는 상태를 유지 하려고 한다.
age = flexibility / motivation
a = F/m = > F=ma
박사과정을 마치는 나이는 교수의 융통성(flexibility)에 비례하고, 학생의 모티베이션(motivation)에 반비례 한다.
3. 작용 반작용의 법칙
졸업을 향한 모든 행동에 대해서, 졸업에 반대하는 같은 방해가 작용한다.
웃기네요..
맛깔나게 번역하기 힘드네요.. ㅋㅋ
2009년 8월 16일 일요일
경제를 위한 2009년 예술지상주의
2009년 8월 5일 수요일
2009년 7월 28일 화요일
[삼성 vs LG] 9회말 2아웃 역전 홈런.. 야구란 정말..
2009년 7월 27일 월요일
2009년 7월 19일 일요일
세상을 구하는 기적의 노래 -
2009년 7월 14일 화요일
나를 죽이게 만드는
2009년 6월 30일 화요일
근본 원리를 따져보면, 모든 판단은 통계학이다.
궁극적으로 분석해 보면, 모든 지식은 역사학이다.
추상적으로 보면, 모든 과학은 수학이다.
근본 원리를 따져보면, 모든 판단은 통계학이다.
All knowledge is, in the final analysis, history.
All sciences are, in the abstract, mathematics.
All judgements are, in their rationale, statistics.
[C. R. Rao (Fellow of the Royal Society, UK)]
이건 너무 환원적이지 않나..
'모든 판단은 통계학이다'는 어느정도 공감이 가기도 한다.
가중치 값이 들쑥날쑥하는 통계..
'0'과 '1' 두개 뿐이 없는것일까?
2009년 6월 28일 일요일
2009년 6월 25일 목요일
최저 임금제 삭감? 차라리 최고 임금제를 만들어라!!
2009년 6월 24일 수요일
여행자의 눈으로..
여행을 시작할때는 모든것이 새로워서 눈에 접하는 모든것이 맑고 의미 있게 다가온다.
여행을 떠나는 날에는 심지어 집 주위까지 새로워 보인다.
하지만 긴여행을 하면서 새로운것을 접하는 것에 익숙해 지기 시작하면
눈은 점점 흐려지고 보이는 것들의 의미는 점점 엷어져 간다.
일상생활에서는 길을 가고 있으면서도 머리속에는 다른 일들로 가득 차있어
내가 지나온 길이 어디인지 오늘은 무엇이 다른지 전혀 눈치채지 못한다.
매일 지나가는 길이니까.
언젠가 매일 지나는 이 길을 그리워할 날이 찾아 오겠지...
내일 아침에는 매일 보는 풍경을 (사실은 그렇지 않지만..)
마치 처음 보는듯한 여행자의 눈으로...
훗. -_-
2009년 6월 6일 토요일
TED. 지혜의 상실. 베리 슈워츠
About this talk
관료제로 미쳐버린 사회에 대한 치유책로 베리 슈워츠가 "실용적 지혜"를 제시합니다. 규칙과 룰, 그리고 인센티브와 유인책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실용적인 일상의 지혜가 우리가 더 좋은 사회를 만드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얘기합니다.
_M#]2009년 6월 4일 목요일
2009년 4월 1일 수요일
"딴 생각"을 할 만한 여유를 주지 한국적 체제와 묵자의 소염론
"딴 생각"을 할 만한 여유를 주지 않는 나라
박노자교수님은 '대공황의 법칙들'이라는 블로그의 글에서 대공황 때에 일어나는 일들을 유심히 지켜보기면, 이 세상이 돌아가는 심층적인 원리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하며, 크게 두가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간단히 살펴 보면,
1. 약육강식
- 지리적, 계층적, 연령적 측면
2. 저항 계층으로서의 중간 계층들
- 최처 계층들은 "생존 전투"에 몰두해 있는 만큼 지배자들에게 집단적으로 저항 하기가 힘들다. 반면, 중간 계층들 (중간/고소득 정규직 노동자, 공무원 노동자, 전문직 노동자 등)은 집단 행동을 취할 만한 여유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서 한국에서 문제가 되는건..
한국의 체제 안에서 이와 같은 "저항적 동원"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가요? 무엇보다 원칙상 저항에 앞장서야 할 20대 노동시장 신규 진입자 및 신규 전문직 채용자 - 대학생부터 젊은 도심 사무실 월급쟁이까지 - 의 "생존 전투"에의 포획 상태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등록금 마련하느라고 없는 직장을 찾느라고 결혼해서 살 집을 마련하느라고 직장에서 안잘리려고 버티느라고 저항이고 뭐고 신경쓸 틈은 없지요. 그게 바로 한국적 체제의 최강의 무기 중의 하나입니다. 여름 휴가 5주의 나라와 기껏해봐야 4-5일 쉬는 나라에서 "저항"에 나설 만한 근로자의 여력은 다를 수밖에 없는 법이라고요... 한국적 체제란 일단 "딴 생각"을 할 만한 여유를 주지 않는 체제입니다. 그러나 절망적 정서가 어느 정도 고착되어 대중화, 보편화되면 대한민국도 어쩌면 그리스처럼 "젊은이들의 만성적인 불만 폭발의 나라"가 될 수도 있지요. 결국 현금 상황의 절망성을 어느 정도 깊이 인식하는가 라는 문제는 핵심적일 듯합니다.
묵자의 소염론
묵자가 실이 물드는 것을 보고 탄식하여 말했다. 파란 물감에 물들이면 파랗게 되고 노란 물감에 물들이면 노할게 된다. 넣는 물감이 변하면 그 색도 변한다. 다섯 가지 물감을 너으면 다섯 가지 색깔이 된다. 그러므로 물드는 것은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비단 실만 물드는 것이 아니라 나라도 물드는 것이다.
얼마전에 묵자에 관한 짧은 글을 읽다가 '소염론'에서 나라도 물드는 것이다는 구절을 읽으면서 한국은 무엇으로 물이 들었는가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돈? 거짓?
- 돈을 위해서라면 부당한 방법이라도 상관이 없는 나라.
- 법을 지키지 않는것이 부끄러운것이 아니라 남들도 지키지 않는 법을 재수없게 걸린것이 부당한 나라.
- 경제라는 목적 아래 전쟁이라도 불사하는 나라.
- 정치인들의 거짓말이 당연한 나라.
- 수출을 못하면 살지 못하는 나라.. (이건 예기하면 길지만, 이런 말이 이런 나라를 만든다는...)
- ..
어느샌가 이전과는 달라졌다는 생각이 든다. 무언가 잘못 되어간다고 생각이 들지만 이미 만연해진 분위기는 쉽게 바꿀 수가 없다.
젊은이들 사이에 좋은 '취직'이 인생 최대의 목표가 되어버렸다. 너무 진하게 물들어 버려서 물들지 않는 사람들은 이상한 색으로 생각되어 지고만다.
ps
1. "딴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분명이 지배층이 그렇게 되도록 어느정도 조작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2. 나라를 다른 색으로도 물들일 수 있을것 같다.
2009년 3월 17일 화요일
범죄행위와 불법행위 차이점.
범죄와 불법 행위라는 두 개의 범죄관
절도, 강도 등은 범죄행위로 규정되고, 선거사범, 경제사범, 조세사범 등 상류층 범죄는 불법 행위로 규정된다.
소위 범죄와 불법 행위는 그것을 처리하는 방식이나 그것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도 전혀 다르다. 범죄 행위에 대해서는 매구 가혹한 것임에 반하여,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더 없이 관대하다.
범죄 행위에 대해서는 그 인간 전체를 범죄시하여 범죄인으로 단죄하는 데 반하여,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그 사람과 그 행위를 분리하여 불법적인 행위에 대해서만 불법성을 인정하는 정도이다.
이것은 주나라 이래의 관행이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역설적인 예로, 요컨대 법가의 법 지상주의가 인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군주를 위한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그것을 폄하하고 과거의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옳은 태도라 할 수 없다.
돈없으면 범죄하고, 돈있으면 불법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