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리티 스타트(Quality Start, QS)
선발로 등판한 투수가 6이닝 이상 공을 던지고 자책점을 3점 이하로 막는 투구 내용.
포일
투수가 던진공을 포수가 충분히 포구 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포구에러를 범했을 때. 이는 폭투와는 차이가 있는데. 폭투는 투수 실책이고, 포일은 포수 실책이다. 패스트볼(Passed Ball)이라고도 한다.
투수가 던진공을 포수가 충분히 포구 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포구에러를 범했을 때. 이는 폭투와는 차이가 있는데. 폭투는 투수 실책이고, 포일은 포수 실책이다. 패스트볼(Passed Ball)이라고도 한다.
세이브의 조건
승리투수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승리팀의 마지막 투수로 등판해 마지막까지 앞선 상황을 유지한 채 경기를 종료시킨 상태에서, 이하의 조건을 1개 이상 충족시킨 경우에 그 투수의 세이브가 기록된다.
- 자기편팀이 3점 이하의 리드를 하고 있을 때 출장하여 최저 1회(回) 투구하였을 경우
- 루상의 주자 또는 상대하는 타자 또는 그 다음 타자가 득점하면 동점이 되는 상황에서 출장하였을 경우
- 최저 3회(回) 이상 효과적인 투구를 하였을 경우.
세이브의 기록은 1경기 한 구원투수에게 한하여 부여된다.
블론세이브(Blown save:세이브를 날려버린 상태)
세이브 기회에 등판한 투수가 상대 팀에 동점, 또는 역전을 허용한 경우. 동점, 또는 역전이 된 실점이 자책점과는 상관이 없다. 그 후 팀이 역전승리한 경우 등에 의해 패전투수가 되지 않았다고 해도(또는 승리 투수가 되어도) 블론세이브 기록은 유지된다.
세이브 기회에 등판한 투수가 상대 팀에 동점, 또는 역전을 허용한 경우. 동점, 또는 역전이 된 실점이 자책점과는 상관이 없다. 그 후 팀이 역전승리한 경우 등에 의해 패전투수가 되지 않았다고 해도(또는 승리 투수가 되어도) 블론세이브 기록은 유지된다.
KBO가 공식적으로 명시한 홀드 규정
세이브 규정에 준해 해당 조건을 갖추면서 도중에 물러난 투수에게 ‘홀드1’을 준다. 조건만 충족하면 여러 명의 투수에게도‘홀드1’을 준다. 위의 조건만 충족하면, 그 다음의 후속 투수가 점수를 내주어 동점 및 역전이 되었다고 해도 ‘홀드1’을 준다. 그러나 이닝 도중에 주자를 남겨 놓고 물러난 때에는 그 주자가 후속 투수에 의해 동점 및 역전이 되었다면 제외한다. 승리투수, 패전투수에게는 홀드를 주지 않는다.
출처 : 위키피디아
출처 : 위키피디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