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14일 토요일

차를 우려내는 표준 ISO 3101



#
http://en.wikipedia.org/wiki/ISO_3103


ISO 3103 is a standard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ISO), specifying a standardized method for brewing tea, possibly sampled by the standardized methods described in ISO 1839. It was originally laid down in 1980 as BS 6008:1980 by the British Standards Institute. It was produced by ISO Technical Committee 34 (Food products), Sub-Committee 8 (Tea).


The abstract states the following:


The method consists in extracting of soluble substances in dried tea leaf, containing in a porcelain or earthenware pot, by means of freshly boiling water, pouring of the liquor into a white porcelain or earthenware bowl, examination of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the infused leaf, and of the liquor with or without milk, or both.


This standard is not meant to define the proper method for brewing tea, but rather how to document tea brewing procedure so sensory comparisons can be made. An example of such test is a taste-test to establish which blend of teas to choose for a particular brand in order to maintain a consistent tasting brewed drink from harvest to harvest.


The work was the winner of the parodic Ig Nobel Prize for Literature in 1999.


.....

 

#


http://ko.wikipedia.org/wiki/ISO_3103




ISO 3103은 국제 표준화 기구 (ISO)에서 지정하는 표준이다. ISO 3101은 를 맛보기 위해 일정하게 우려내는 방법을 규정한다. 1980년에 만들어진 BS 6008:1980 (영국) 표준을 따른다. 영국 표준이기 때문에 홍차에는 알맞지만 녹차에는 너무 진하게 나온다.


표준에 따르는 차를 우려내는 방법:



  • 뚜껑이 느슨하게 닫히는 백자기나 유약을 바른 토기로 된 주전자를 사용한다.

  • 큰 주전자는 최대 310 ml (±8 ml)까지이고 200g (±10g)이 되어야 한다.

  • 작은 주전자는 최대 150 ml (±4 ml)까지이고 118g (±10g)이 되어야 한다.

  • 2g (±2%) 차를 100ml 끓인 물에 넣는다.

  • 바로 끓인 물을 4-6mm 남기고 채운다.

  • 경수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6분간 우려낸다.

  • 우려낸 차는 백자기나 유약 토기로 된 그릇에 담는다.

  • 큰 그릇을 사용하면, 380ml 용량과 200g (±20g) 무게가 되어야 한다.

  • 작은 그릇을 사용하면, 200ml 용량과 105g (±20g) 무게가 되어야 한다.

  • 만약 우유가 들어간다면, 우려낸 차를 넣기 전이든 후이든 상관 없다.

  • 만약 우유를 나중에 넣어 마시면, 차가 65 - 80°C 될 때 마시는 게 좋다.


  • 큰 그릇에는 5ml, 작은 그릇에는 2.5ml의 우유를 넣는다.







     




#


표준화는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이 될수 있게 한다.


비용의 절감이 표준화의 장점.





하지만,
표준화의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많은 사항들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측정할수 없기 때문에..) 전달 할수 없다는것.

하지만,
의외의 성찰이 있을 수도 있을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